이재용 부회장이 그리는 지주회사 삼성전자 모습은?

삼성물산, 삼성SDS, 삼성생명 활용한 지배구조 개편 ...이 부회장 영향력 확대모색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사진=연합뉴스

[데이터뉴스=유성용 기자] 삼성전자(대표 권오현·윤부근·신종균)가 지주회사 전환 검토를 공식 선언한 가운데 향후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사 전환을 포함한 기업구조 재편 방안을 향후 6개월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이 지주사 전환을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45월 이건희 회장이 심근경색으로 병상에 눕고 이재용 부회장이 경영전면에 부상한지 26개월 만이다.

재계는 삼성전자가 추후 삼성물산(대표 최치훈·김신·김봉영)과 삼성SDS(사장 정유성), 삼성생명(사장 김창수) 등을 활용한 지주체제 구축에 나설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실제 이상훈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시점에서는 삼성물산과 합병을 검토한 것이 없다고 말했지만 현재라고 시점을 못 박아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는 모습을 보였다.

우선 삼성전자 지주사 전환의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지난 10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제시한 인적분할 후 삼성물산과 합병 방안이다. 삼성물산은 이 부회장이 17.08%로 최대주주고, 오너 일가 및 특수관계 우호지분이 총 39.09%에 이른다.

삼성전자를 지주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되면 이 부회장 등 오너일가는 두 회사에 각각 현재 지분율과 동일한 4.91%를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삼성전자는 자사주 12.78%(3분기 보통주 기준)의 의결권을 되살리기 위해 지주사에 귀속시키며 지배력을 높이게 된다. 자사주는 의결권을 가지지 않지만 인적분할 후 지주사에 귀속되면 의결권이 되살아나는데, 이는 지주사의 마법이라 불린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인적분할 과정에서 삼성전자 지주사는 사업회사 주식을 맞바꾸는 지분스왑을 할 것이라며 이 부회장 등 기존 주주는 사업회사 가치가 더 높아 보다 많은 지주사 지분을 가질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변수는 있다. 지난 23일 국회 정무위소속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기업 분할 시 자사주를 소각하도록 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삼성전자 지주사는 자회사 지분 20%를 보유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게 된다.

삼성전자 지배구조 개편에 있어 이 부회장이 9.2% 지분을 가진 삼성SDS(사장 정유성)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S가 현재 추진 중인 IT서비스와 물류BPO 분할을 끝내고 22.58%1대 주주인 삼성전자와 17.08%2대 주주 삼성물산이 지분을 맞바꾸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삼성SDS IT서비스, 삼성물산은 물류 부문에 대한 지배력을 높이게 된다.

삼성전자가 인적분할 하기 전에 삼성SDS를 흡수합병하는 방안도 점쳐진다.

상법상 삼성전자의 삼성SDS 흡수합병 결정 시 존속법인이 발행하는 신주가 발행주식의 10%가 넘지 않으면 주주총회 없이 이사회 승인만으로 결의가 가능하다. 현재 삼성전자(2362000억 원) 시가총액은 삼성SDS(105000억 원)보다 22.5배 높다. 1년 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엘리엇의 반대 등 외부 입김에 휘둘릴 필요가 없다.

삼성전자가 삼성SDS를 현재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한 비율에 따라 합병을 가정할 경우 오너일가의 전자 보유 지분은 4.91%에서 5.32%로 높아진다. 이후 삼성전자가 인적분할 후 삼성물산과 합병하면 오너 일가는 더욱 높은 지분율을 가지게 된다. 이 방식이 현실활 될 경우 이 부회장 입장에서는 삼성SDS 주가가 삼성전자의 10분의 1에 가까이 가는 게 유리하다.

어떤 방식으로든 여기까지 지배구조 개편이 완성되면 삼성전자는 높은 배당 정책을 펼 가능성이 있다. 오너 일가가 지주사 배당으로 현금을 바로 받는 구조가 됐기 때문. 29일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 방안으로 올해 4조 원, 내년부터 분기별 실시 등 배당 확대 정책을 펼치기로 한 것도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 제조부문이 전자와 물산을 중심으로 재편된다면 금융부문은 삼성생명의 금융지주회사 전환이 유력한 개편 방안으로 거론된다.

이달 초 공정위가 연내에 중간금융지주사 제도를 도입하는 법안을 마련키로 한 것은 호재다. 금융사로만 구성된 금융지주사는 일반지주사의 자회사로 둘 수 있게 된다. 이럴 경우 삼성전자 지주사와 삼성물산 합병 법인이 삼성전자 사업회사와 삼성생명 중간금융지주사로 대부분의 계열사를 지배하는 그림이 완성된다.

삼성생명은 현재 삼성증권(사장 윤용암) 30.01%, 삼성카드(사장 원기찬) 71.86%, 삼성자산운용(사장 구성훈) 98.73% 등의 지분을 보유하며 자회사 편입 요건(상장사 지분 30%)을 갖췄다. 삼성화재(사장 안민수) 지분만 16% 정도 더 확보하면 된다.

법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를 가정해 삼성 제조 부문과 금융 부문을 나눠 각자 지주회사 체제로 운영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을 정리하고 1대 주주 자리에서 내려와야 하는데, 지배력 유지를 위해선 계열사가 삼성전자 지분을 받아줘야 하고 약 18조 원이 필요하다. 삼성전자 인적분할이 거론되는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기도 하다. 삼성전자 투자부문의 가치가 줄어 삼성생명 지분을 받는데 드는 비용이 줄어든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지주사 전환과 관련된 시나리오는 현실적인 걸림돌이 적지 않다이재용 부회장 체제를 위해 추진되는 사안인데다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 촉발 등으로 주주와 여론의 비판을 넘어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y@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