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AI 챗봇 앱 사용시간 1위 '제타'가 '챗GPT' 제친 비결은?

챗GPT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만, 정작 제타에서 체류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18일 데이터뉴스가 와이즈앱·리테일의 '2025년 10월 한국인의 AI 챗봇 앱 사용시간 순위 톱10'을 분석한 결과, 제타가 7362만 시간으로 1위를 기록했다.와이즈앱·리테일은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안드로이드+iOS)를 표본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10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AI 챗봇 앱은…

- 2025.11.18 13:58:09 new

“美 기업 재무 보고서, AI도입으로 마감이 10일→8일→6일로”

미국 기업들이 재무 보고서 작성에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광범위하게 도입하면서, 수십 년간 인간의 영역이었던 공시 업무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재무 보고 주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율성 극대화’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보고 내용의 투명성과 투자자…

- 2025.11.18 08:25:29 new
대표이미지

딥페이크 확산에 사이버성범죄 35%↑

사이버성폭력범죄가 1년 새 크게 증가하며 딥페이크 확산에 따른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발생 건수와 검거 모두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하며 범죄 양상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17일 데이터뉴스가 경찰청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1년간 사이버성폭력범죄 발생 건수는 4413건으로 전년 대비 35.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같은 기간 검거 건수는 341…

- 2025.11.17 16:29:35 new
대표이미지

현재 하고 있는 여가 활동은…"동영상 콘텐츠 보거나 휴식"

주중과 주말 여가 활동에 대부분은 동영상 콘텐츠 시청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14일 데이터뉴스가 국가데이터처(구 통계청)의 2025년 사회조사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은 현재 하고 있는 활동으로 동영상 콘텐츠 시청을 가장 많이 꼽았다.동영상 콘텐츠 시청은 주중과 주말에 모두 가장 앞섰다. 특히 응답자의 85.9%(복수응답)는주중 여가 활동으로 동영상 콘텐츠 시…

- 2025.11.14 09:50:35 new
대표이미지

성인 비만율 10년새 30% 증가

성인 비만 인구가 늘고 있다.13일 데이터뉴스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만 19세 이상 성인 가운데 비만군으로 분류된 비율은 10년 전보다 30.8%p 상승한 34.4%로 집계됐다. 이제는 성인 3명 중 1명꼴로 비만 상태인 셈이다.최근 5년간 비만율도 연속 상승세다. 2020년 31.3%, 2021년 32.3%, 2022년 32.5%, 2023년 33.7%, 지난…

- 2025.11.13 17:48:14 new
대표이미지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출퇴근·여가 모두 잡았다

서울특별시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도입 10년 만에 누적 이용 2억5000만 건을 돌파하며 출퇴근과 여가를 아우르는 대표 생활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다.12일 데이터뉴스가 서울특별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따릉이는 2015년 10월 정식 운영 이후 올해 9월까지 누적 회원 506만명, 누적 이용건수 2억5017만건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2015년 11만3000건이었던 연간 이용건수는…

- 2025.11.12 17:55:12 new
대표이미지

10월 인기 모바일 게임 1위는?

로블록스가 올해 10월 모바일게임 인기순위 1위를 차지했다.12일 데이터뉴스가 모바일인덱스의 '2025년 10월 인기 모바일 게임 톱10'을 분석한 결과, 인기 모바일 게임 1위는 로블록스가 차지했다. 로블록스의 10월 사용자 수(AOS+안드로이드)는 264만 명으로 집계됐다.로블록스는 국내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크리에이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이용자 제작 경험이 많아…

- 2025.11.12 14:06:55 new
대표이미지

"외국인 몰려온다"…카지노·호텔 수혜 전망

국내 외국인 입국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카지노와 호텔 등 관광 산업 전반의 가파른 실적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12일 데이터뉴스가 IBK투자증권의 '한국발 황금 물결의 흡인력'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국내 외국인 입국자 수는 2024년 1637만 명에서 2029년 2300만 명으로 연평균 7.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주요국 경제 성장에 따른 해외관광 수요증가와 K-콘텐츠의 글로벌 흥행…

- 2025.11.12 10:27:30 new
대표이미지

배터리 사용 전기제품 화재사고 증가세...5년간 3300건 넘어

휴대용 전자기기와 개인형 이동수단의 확산으로 배터리와 멀티탭, 전기자전거 등 관련 화재사고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11일 데이터뉴스가 소방청이 조사한 전기제품 화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배터리, 멀티탭, 전기자전거 관련 화재는 총 3313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배터리 화재가 1858건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배…

- 2025.11.11 14:53:57
대표이미지

성인 남성 10명 중 4명은 비만…여성보다 1.8배 많아

국내 성인 남성 10명 중 4명은 비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10일 데이터뉴스가 질병관리청의 성인 비만율 심층분석 결과 발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34.4%)인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발표는 질병관리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분석에는 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산출된 비…

- 2025.11.10 15:28:29
대표이미지

다문화 혼인, 외국인 아내가 70% 이상…베트남·중국·태국이 절반

다문화 혼인 중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혼인 비중이 70%를 돌파했다.10일 데이터뉴스가 국가데이터처(전 통계청)의 '2024 다문화 인구동태'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혼인 유형 중 외국인 아내 비중은 71.2%로 2014년(63.6%) 대비 7.6%p 상승했다.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 건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19년 2만4700건에서 2021년 1만3900건까지 감소했으나, 이후 지속적…

- 2025.11.10 13:27:32
대표이미지

국민 절반 “주식 보유 중”…남성·30~50대 중심으로 확산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남성과 30~50대를 중심으로 주식 투자층이 넓어지며, 개인투자자 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6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갤럽의 10월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현재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46%로 집계됐다. 2022년 9월(38%)보다 8%p 상승한 수치로, 개인의 주식 보유율이 지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 2025.11.06 15:22:44
대표이미지

빼빼로데이, 30대가 가장 많이 "챙긴다"

롯데멤버스 라임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30대의 10명 중 6명은 빼빼로데이를 챙기겠다고 응답했다.6일 데이터뉴스가 롯데멤버스의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의 빼빼로데이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45.1%가 올해 빼빼로데이를 챙길 예정이라고 응답했다. 전년 대비 17.1%p 증가했다.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빼빼로데이를 챙기겠다는 비중이 57.5%로 가장 높았…

- 2025.11.06 14:19:00
대표이미지

직장인 60%, 재테크로 돈 벌어…손실은 50대가 최다

젊은 세대는 해외 주식과 코인 등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반면, 50대는 부동산과 국내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세대별 투자 전략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6일 데이터뉴스가 인크루트의 ‘직장인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직장인 383명 중 92.2%가 재테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장 많이 선택한 재테크 방식(복수 응답)은 저축(83.0%)이…

- 2025.11.06 14:17:28
대표이미지

불법사금융, SNS로 68% 급증

불법사금융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5일 데이터뉴스가 경찰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11월부터 2025년 10월까지 1년간 불법사금융으로 검거된 건수는 3251건, 인원은 400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동기(1901건·3330명) 대비 각각 약 71%, 20% 증가한 수치다.SNS·메신저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간편 대출’, ‘서류 불필요’ 등 자극적인 광고 문구로 빠르게 피…

- 2025.11.05 15:5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