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 "영농형 태양광, 농가소득 상승·전기생산 일석이조"

위에서는 태양광 발전, 밑에서는 농작물 재배…농작물 수확량 일부 줄지만, 전력생산으로 추가 소득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영남대학교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 전경 / 사진=한화큐셀


"농민 입장에서는 영농형 태양광을 통해 농가 소득이 올라갈 수 있고, 국가 차원에서는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일석이조입니다."(유재열 한화큐셀 한국사업부장)

한화큐셀은 지난 13일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 및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에서 미디어데이를 열었다. 이 실증단지는 한국동서발전이 2019년 실증과제를 위한 기금을 조성해 만들어진 곳으로, 100킬로와트(kW) 규모의 영농형 태양광 설비가 설치돼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은 한 부지에서 태양광 발전과 농업 활동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농경지나 목초지, 비닐하우스를 포함한 모든 농경지에서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부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 2~5m 높이에 만든 것이 특징이다.

임도영 한국동서발전 미래기술융합원장은 영농형 태양광이 꼭 필요한 이유로 농지 보전, 농민 보호, 식량 안보 등을 꼽았다. 

임 원장은 "영농형 태양광은 작물 생산과 전력 생산을 함께 해 농지를 보호할 수 있다"며 "영농형 태양광을 통해 농가소득이 50% 이상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재학 영남대 교수가 한화큐셀 영농형 태양광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한화큐셀


영농형 태양광은 농작물 수확량이 일반 농지보다 일부 줄지만, 전력 생산으로 농지 생산성은 크게 올라간다. 월간 80만~90만 원 수준의 소득이 생기는 것으로 추산됐다.

영농형 태양광은 폭염, 폭우, 태풍, 혹한과 같은 기후에서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정재학 영남대 교수는 "광포화점을 지닌 식물은 일조량이 많아도 광포화점을 초과한 광원에서는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며 "이에 따라 식물에는 최적화된 생육환경을 제공하고 남는 일사량을 태양광발전에 활용한다"고 말했다.

국내 77개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에서 벼, 밀, 콩, 녹차 등 다양한 작물들 대상으로 실증연구가 진행됐으며, 작물 수확량은 일반 농지에 비해 최소 71%에서 최대 111%까지 보고됐다.

정재학 교수 연구팀은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에서 영농형 태양광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영농형 태양광을 표준화하기 위한 국책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에서 대파를 재배하고 있다. / 사진=한화큐셀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는 590평 규모로, 100kW 규모의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 운영 중이다. 하부 농지에는 대파와 벼를 재배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5월 영농형 전용 모듈(10kW, 50평), 양면형 일반 모듈(20kW, 90평)을 설치했다.

이 실증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은 작년 1년간 130메가와트아워(MWh)로, 현재 실증단지 및 영남대학교 운영에 쓰이고 있다. 이는 국내 가정용 기준으로 연간 140여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판매한다면 연간 약 3000만 원의 매전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또 이 실증단지에서 수확한 농작물은 과제 주관사인 한국동서발전이 장학금 사업, 불우이웃돕기 등 사회공헌 활동에 사용하고 있다.

영남대학교 실증 결과, 영농형 태양광 하부 농지의 대파, 밀, 배추 수확량은 모두 일반 농지 대비 약 80%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증단지에는 영농형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해 재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도 시범운영되고 있었다. 강수량이 많을 때 농지에 내리는 빗물을 태양광 모듈 하부에 파이프를 설치해 물탱크에 저장했다가 가뭄 시 해갈에 활용한다.

이윤혜 기자 dbspvpt@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