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컴퓨팅 시대의 ‘기술 혁신 민관 플랫폼’을 지향하는 ‘양자보안포럼’이 25일 공식 출범, 첫 토론회를 가졌다. 양자보안포럼은 △양자, △인공지능(AI), △6세대 이동통신 등 융합 서비스가 안심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양자보안 전략을 논의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을 지낸 이원태 국민대 특임교수가 이날 초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이 회장은 현재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보안태스크포스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급속히 발전 중인 양자 기술은 AI, 신약 개발, 소재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고성능 양자 컴퓨터의 등장은 기존 암호체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키우고 있다.
이에 미국 등 주요 국가는 양자내성암호(PQC) 적용을 본격화, 2035년까지 모든 국가 시스템을 이 PQC로 전환하는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같은 시한을 목표로 국가 암호체계 전환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상태다.
양자보안포럼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융합 보안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 산학연 거버넌스를 지향하고 있다. 특히 양자키분배(QKD), PQC 등 핵심기술 개발촉진, 정책 발굴 및 제도 개선, 국제협력 확대와 인재 양성, 양자보안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양자 기술에는 기회와 도전이라는 양면의 모습이 있다”며 “AI 보안의 여러 이슈도 결국 양자를 통해서 해결될 것이고, 이 대응에 양자보안포럼이 역할을 할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이 회장을 비롯, 최소영 부회장, 박종환 상명대 교수, 김종성 국민대 교수, 김창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정보보호 피엠(PM), 오진영 KISA 본부장, 권대성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실장 등이 참석했다. 홍진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장, 이옥연 국민대 정보보안암호수학과 교수, 최정식 보안뉴스 회장 등은 고문으로 참여했다.
양자보안포럼은 매달 토론회를 개최, 양자보안 최신 이슈를 소개하고 기술 및 정책 동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손기종 KISA 차세대암호기술팀장이 ‘양자내성암호(PQC) 전환 기술 및 주요국 정책 동향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권세인 기자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