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더존비즈온, 1조3000억에 스웨덴 사모펀드 EQT에 매각

국내 대표 소프트웨어(SW) 기업 더존비즈온이 스웨덴 사모펀드 운용사 EQT에 약 1조3000억 원에 매각됐다.더존비즈온은 최대 주주 김용우 회장의 지분 677만1184주(22.29%)를 EQT파트너스의 특수목적법인(SPC) 도로니쿰에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공시했다.EQT는 김용우 더존비즈온 회장의 보유지분 외에도신한밸류업제일차가 보유한 보통주 311만552주, 신한…

- 2025.11.07 16:34:04 new
대표이미지

KT, 클라우드·DC·부동산 성장…3분기 영업이익 16% 증가

KT(대표 김영섭)는 2025년 3분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기준 매출 7조1267억 원, 별도 기준 매출 5조1090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클라우드·데이터센터(DC)·부동산 등 주요 그룹사 중심의 성장과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이익 반영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한 5382억 원을 기록했다. 별도 기준 영업…

- 2025.11.07 11:15:45 new
대표이미지

카카오, 2분기 이어 3분기도 역대 최대 실적

카카오(대표 정신아)는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결 기준 2025년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한 2조866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3분기 영업이익은 2080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9% 늘었다.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모두 경신했다.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1조598억 원으로 집계됐다.플랫폼 부…

- 2025.11.07 09:55:33 new

“AI 비즈니스 전쟁, MS에 대한 구글의 완승”

인공지능(AI)의 산업 구조가 ‘분업형 파트너십’에서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형’으로 재편되면서,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AI 산업 초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주도하는 ‘분업’의 파트너십이 효율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다.하지만, 기술이 성숙하고…

- 2025.11.07 08:45:08 new
대표이미지

넷마블, ‘뱀피르’·‘세븐나이츠 리버스’ 흥행…3분기 영업익 39%…

넷마블(대표 김병규)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960억 원, 영업이익 909억 원, 당기순이익 406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5%, 38.8%, 97.1% 증가했다.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2조375억 원, 누적 영업이익은 2417억 원으로 집계됐다.3분기 해외 매출은 4726억 원으로 해외 매출 비중은 68%를 기록했다. 지역별 매출 비중은 북미 34%, 한국…

- 2025.11.06 16:29:02 new
대표이미지

삼성전기, MLCC·FCBGA ‘두 축’ 성장…광학솔루션은 ‘뒷걸음’

삼성전기 올해 3분기 누적 실적이 사업부문별로 명암을 드러냈다. 컴포넌트와 패키지솔루션 부문이 성장세를 이끈 반면, 광학솔루션 부문은 해외 수요 부진 영향을 받으며 역성장했다.6일 데이터뉴스가 증권사 리포트 8개를 종합한 결과, 3분기 누적 광학솔루션 영업이익은 1073억 원으로, 전년 동기(1211억 원) 대비 11.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영업이익률도 3.7% 수준에 그쳐…

- 2025.11.06 08:25:59 new
대표이미지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IP ‘P의 거짓’…DLC로 게임대상 도전

작품성과 글로벌 흥행을 모두 잡은 ‘P의 거짓’ IP가 2023년 본편에 이어 올해 DLC까지 대한민국 최고의 게임에 오를 수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네오위즈 산하 라운드8 스튜디오가 개발한 ‘P의 거짓: 서곡’이 ‘2025 대한민국 게임대상’ 본상 수상에 도전한다. 본편 ‘P의 거짓’이 2023년 대상(대통령상)을 포함한 6관왕을 차지한데 이어 그 명성을 이은 DLC가 수상의…

- 2025.11.06 07:09:52 new
대표이미지

LG헬로비전, 3분기 영업이익 90억…전년 대비 172.8%↑

LG헬로비전은 2025년 3분기 영업수익(매출) 2985억 원, 영업이익 90억 원, 당기순이익 20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8억 원(7.7%), 전 분기 대비 556억 원(15.7%) 줄었다. 일회성 교육청 단말 사업이 빠지면서 매출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영향이다.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억 원(172.8%) 상승했다. 지난해 유무형자산 손상차손 인식 이후 감…

- 2025.11.05 10:52:30 new
대표이미지

LG유플러스, 3분기 영업수익 4조108억…전년 대비 5.5%↑

LG유플러스는 2025년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수익 4조108억 원, 서비스수익(영업수익에서 단말수익을 제외한 매출) 3조1166억 원, 영업이익 1617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영업수익과 서비스수익은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5%, 4.2% 늘어났다. 전사 AI 에이전트 확산 적용을 통한 업무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 AIDC 사업의 가시적인 성…

- 2025.11.05 10:44:04 new
대표이미지

SKT·엔씨·넷마블·네이버의 공통점…법조 출신 CEO 선택

SK텔레콤이 설립 후 처음으로 법조인을 CEO로 결정했다. 최근 ICT 업계에 판사 등 법조인 출신 CEO 증가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ICT 업계가 기술 혁신과 성장 일변도에서 점차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리스크 관리에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이른바 ‘법을 잘 아는 전문경영인’을 CEO로 선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5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대표 ICT 기업들의 CEO…

- 2025.11.05 08:50:07 new
대표이미지

네이버, 분기 매출 3조 첫 돌파

네이버(대표 최수연)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3조1381억 원, 영업이익 5706억 원, 당기순이익 7347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3분기 연결 매출은 서치플랫폼, 커머스 등 주요 사업 부문이 AI 접목 효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15.6%, 전분기 대비 7.6% 증가했다.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6%, 전분기 대비 9.4% 성장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 2025.11.05 08:15:35 new
대표이미지

카카오게임즈, 3분기 매출 1275억…전분기 대비 10.1%↑

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2025년 3분기 매출 1275억 원, 영업손실 54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2% 감소했고, 전분기 대비 10.1%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으나, PC온라인 라이브 타이틀의 매출 상승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약 37% 개선되며 손실 폭이 줄었다.PC온라인 게임 부문…

- 2025.11.05 08:05:52 new
대표이미지

[현장] “메모리 병목 잡는다”…SK하이닉스, 차세대 솔루션 공개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시대의 고질적인 과제로 꼽히는 ‘메모리 병목(Memory Wall)’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세 가지 혁신 해법을 제시했다. 데이터의 ▲이동 속도 ▲용량 확장 ▲연산 효율이라는 서로 다른 접근으로 병목 문제를 완화한다는 전략이다.SK하이닉스는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컴퓨트 익…

- 2025.11.03 16:31:52 new
대표이미지

최태원 회장 “메모리칩 요청 너무 많아 어떻게 소화할지 걱정”

“사실 요즘은 너무 많은 기업으로부터 메모리칩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이걸 다 어떻게 소화하나 걱정하고 있습니다.”최태원 SK 회장은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급증과 이를 대응하기 위한 설비투자 및 기술 개발 대응 방안을 소개했다.최 회장은 “AI 수요는 데이터센터에 돈이…

- 2025.11.03 12:17:06 new

“구글 AI의 ‘토큰 소비량’ 1년5개월 새 124배나 폭증”

인공지능(AI) 산업이 막대한 자본 유입에도 불구하고 ‘잔혹한 경제학’에 직면했다. AI 핵심 기업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수십억 달러(수조 원)의 천문학적인 손실을 기록, ‘제2의 닷컴 버블 붕괴’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이는 AI리더들의 ‘비용 곡선’에 대한 오판 탓이라고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

- 2025.11.03 08:26: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