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이사회서 인도법인 지분 15% 처분 결의…상장 절차 속도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LG전자는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1억181만5859주)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처분일과 금액은 정해지지 않았다.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의 최종 승인 이후 공모가 밴드와 처분예정일자를 다시 공시할 예정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하며 상장 준비를 본격화하고, 올 3월 인도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상장 예비승인을 받은 바 있다.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은 신주발행 없이 지분 15%를 매각하는 구주매출로, 조달 금액이 100% 본사로 유입되는 방식이다. 이자비용 등 금융 리스크 없이 대규모 현금 조달이 가능해 큰 폭의 재무건전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현지 매체 등이 예상하는 공모 규모는 1150억 루피(한화 약 1조8000억 원) 수준으로 LG전자 2분기 말 별도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 1조1000억 원을 넘어서는 규모다.

IBK투자증권의 김운호, 강민구 연구원은 지난 18일 발간한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4분기는 비수기이지만 인도법인 상장으로 현금흐름 대폭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한 바 있다. 앞서 올 2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 역시 “향후 LG전자 인도법인 기업공개가 회사 재무지표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 언급했다.

한편, 인도 자본시장 특수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현지 사업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월풀(가전), 오라클(IT), 무디스(신평), 스즈키자동차(자동차), 네슬레(식품) 등이 인도에 자회사를 상장하고 있다.

박혜연 기자 phy@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