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천 아시아나항공 사장, 재무안정성 위기 탈출할까

연내 만기 차입급 2조...사옥 보유주식 매각 등 유동자산 확보에 총력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데이터뉴스=박시연 기자] 아시아나항공의 재무안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연말까지 도래하는 차입금 만기 규모가 2조원에 달하는데 자금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올해로 취임 5년차를 맞은 김수천 아시아나항공 사장의 어깨가 무겁다.

1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아시아나항공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회사의 차입금 규모는 약 4조 원으로 이 중 절반에 가까운 2조 원가량이 연내 만기가 도래한다. 그러나 작년 연말 기준으로 현금성 자산 보유 규모는 1081억 원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전방위적인 현금 자산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지난달 아시아나항공은 독일 자산운용사인 도이치자산운용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광화문 사옥 매각 작업에 착수했다. 2008년 준공된 금호아시아나그룹 광화문 사옥은 장부가액(토지+건물) 1800억 원 정도로 매각가는 4000억 원대 중반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유하고 있던 CJ대한통운 주식 73만8427주도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했다. 처분 금액은 자기자본의 9.11%에 달하는 938억 원이다.

1000억 원대 전환사채(CB)도 발행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29일 케이프 투자증권을 주관사로 5년 만기 전환사채 1000억 원에 대한 발행 및 인수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같은 경영 난제가 이어지자 김수천 아시아나항공 사장의 고심도 깊어졌다. 김 사장은 실적 부진과 미국에서의 항공기 사고 등으로 아시아나항공의 경영 악화가 이어졌던 지난 2014년 1월 구원투수로 영입됐다.

김 사장의 영입은 업계의 큰 기대를 받았으나 아시아나항공의 재무상태는 에어서울 설립 이후 오히려 급격히 악화됐다.

실제로 아시아나항공은 100% 출자해 에어서울 설립했던 2015년을 기점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크게 감소했다. 반면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의미하는 부채비율은 급격하게 증가했다.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아시아나항공의 재무상태를 분석한 결과, 2014년 715.4%던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2015년 991.4%로 1년 사이 276%포인트나 증가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1462억 원에서 434억 원으로 1028억 원(70.3%)나 급감했다.

지난 2017년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720.3%,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은 1081억 원으로 2015년보다는 상태가 다소 완화되었으나 이 역시 에어서울 설립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부채비율은 업계 1위인 대한항공(537.9%)보다 182.4%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업계에서는 오는 2019년 국제회계기준 'IFRS16'이 도입되면 부채로 인식되지 않았던 운용리스가 부채로 인식돼 부채비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이 개선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2017년 아시아나항공의 매출액은 5조7888억 원, 영업이익2524억 원, 당기순이익 1501억 원으로 직전년도(매출액 5조4014억 원, 영업이익 2345억 원, 당기순이익 558억 원) 대비 각각 7.2%, 7.6%, 169% 증가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사옥 매각 등을 통해 현금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는 중"이라며 "다각도로 노력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i-yeon@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