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츠린 삼성...이재용 부회장 구속후 삼성 CEO 자율경영 첫성적

2분기, 반도체‧스마트폰 호조 전기전자 계열 빼면 매출정체...내실 다지기 주력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데이터뉴스=유성용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 후 자율경영에 나선 삼성 계열사 CEO들이 외형성장보다 내실다지기에 주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회장의 징역
5년 실형 선고로 삼성이 M&A 등 성장 동력 발굴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자율경영 CEO 첫 성적표를 통해서도 일부 확인된 셈이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28일 이 부회장 구속 후 삼성 16개 상장사들은 올 2분기(4~6) 개별기준 매출 763974억 원, 영업이익 98746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108.6% 증가했다.

겉으로 보기엔 매우 견고한 실적이나 반도체와 갤럭시
S8 등 스마트폰 호조로 역대 최대 실적을 낸 삼성전자와 전기전자 계열사를 제외하면 사정은 달라진다.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 삼성SDI 등 전기전자 계열사를 제외한 매출은 317597억 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1.6%에 그친다. 사실상 매출이 정체된 것이다.

반면 영업이익은
19961억 원으로 전기전자 계열을 제외해도 62.5% 증가했다. 소위 삼성 후자로 불리는 계열사들이 수익성 확보에 주력했음을 방증한다.

2분기 삼성 상장사들의 설비투자는 74521억 원으로 259.9% 급증했다. 투자 증대 추세는 이 부회장이 옥중 경영을 펼친 탓이다. 이 부회장은 구속 직후 미래전략실을 해체했고, 7월에는 2021년까지 30조 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투자액이 68725억 원으로 298% 증가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 조사 결과 2분기 전 세계 반도체 업계 설비투자 규모는 266000억 원인데 이중 삼성전자가 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2
분기 삼성 상장사 중 매출 증가율이 가장 큰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사장 김태한). 매출규모는 1000억 원 미만으로 크지 않지만 2분기 증가율은 33%였다. 이어 삼성전자(대표 권오현윤부근신종균) 26.4%, 삼성SDS(사장 정유성) 13.6%, 삼성증권(사장 윤용암) 13.5%, 멀티캠퍼스(대표 김대희) 10.1% 등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반해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박중흠)은 매출 증가율이 -32.8%로 가장 낮았고, 삼성중공업(사장 박대영)-16.1%로 부진했다. 이부진 사장이 이끌고 있는 호텔신라도 매출이 8.7% 감소했다. 이서현 삼성물산 패션부문장의 남편인 김재열 사장이 스포츠총괄로 있는 제일기획(사장 임대기)도 매출이 1.1% 줄었다. 2분기 매출이 감소한 계열사는 이들 4곳뿐이다다만 제일기획은 연결기준으로 종속법인의 해외실적을 포함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이 1%, 1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삼성전자가
117%로 가장 많이 늘었다. 삼성물산(77.1%)과 삼성화재(51.6%)5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고, 이어 삼성SDS 45%, 삼성생명(사장 김창수) 37.6%, 삼성증권(32.4%), 삼성카드(사장 원기찬) 19.4%, 멀티캠퍼스 1.6% 순이다.

삼성
SDI(사장 전영현)와 삼성전기(사장 이윤태)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사업 부활로 적자가 축소됐다. 삼성중공업은 매출이 두 자릿수로 떨어졌지만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했다.

공교롭게도 오너 일가가 몸담고 있는 호텔신라는 매출에 이어 영업이익 증가율도 각각
-19.1%를 기록하며 삼성 상장사 중에서 눈에 띄게 부진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적자가 확대됐다.

2
분기 투자는 전기전자 계열사 비중이 95.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삼성물산, 호텔신라, 삼성중공업 등이 투자액이 감소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의 전문경영인 체계가 우수하다고 하지만 CEO의 관할권을 벗어난 총수의 역할은 분명 존재하고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sy@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