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청소년 4명 중 1명, 우울감 느껴봤다

청소년 4명 중 1명은 우울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받은 청소년도 올해 최대를 기록하며 정신건강이 악화된 추세다.9일 데이터뉴스가 질병관리청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을 경험한 청소년은 조사를 시작한 2015년(23.6%) 대비 4.1%p 증가한 27.7% 기록했다.우울감 경험률은 최근 1년간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정도로 우울감을 느낀 비율이…

- 2024.12.09 16:53:48
대표이미지

수돗물·정수기·먹는 샘물…한국인의 물 선택 비율은?

집에서 물을 마실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가구는 37.9%인 것으로 나타났다.9일 데이터뉴스가 환경부의 ‘2024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37.9%(중복 응답 포함)가 집에서 물을 마실 때 ‘수돗물을 먹는다(끓여서 포함)’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3년 전인 2021년 36.0% 대비 1.9%p 상승했다.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한국상하수도협회에 위탁해, 4…

- 2024.12.09 15:53:52
대표이미지

메모리 수출, 호황기 넘어섰다

인공지능(AI) 시대로 진입하며 메모리 수요가 늘어 수출 금액이 급증하고 있다.9일 데이터뉴스가 K-stat 무역통계의 '한국무역 품목별 수출입'을 분석한 결과, 메모리의 올해 10월 누계 수출금액은 581억 달러로 전년 동기(333억 달러) 대비 74.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메모리는 핸드폰 등 수많은 제품에 들어가며, 지난 2015년부터 한국무역 수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핵심…

- 2024.12.09 15:23:43
대표이미지

지난해 일자리 20만 개 증가…증가폭 역대 최소

지난해 일자리 증가폭이 역대 최소로 적었다.9일 통계청에 공개한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666만 개로 전년(2645만 개) 대비 20만 개(0.8%) 증가했다.이는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었다. 지난해 일자리 증가폭이 축소된 것은 기저효과와 일부 산업군의 일자리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전체 일자리 가운데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

- 2024.12.09 10:40:38
대표이미지

청소년 흡연·음주율, 20년 간 1/3 수준으로 줄었다

청소년 흡연율과 음주율이 20년 전인 2005년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5일 데이터뉴스가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 흡연율(일반담배 기준)은 2005년 11.8%에서 올해 3.6%로 69.5%(8.2%p) 감소했다. 음주율은 27.0%에서 9.7%로 64.1%(17.3%p) 줄었다.남학생 흡연율은 2005년 14.3%에서 올해 4.8…

- 2024.12.06 15:01:37
대표이미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 환자 증가, 영유아가 대부분

11월 들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입원 환자의 절반 이상이 영유아(0~6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은 감염예방을 위한 철저한 감염관리와 개인 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했다.6일 데이터뉴스가 질병관리청의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 증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1월 들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입원환자가 매…

- 2024.12.06 10:22:42
대표이미지

한국 3대 사망원인은 암·심장질환·폐렴…전체 사망의 41.9%

국내 3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폐렴으로 나타났다.5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3년 사망원인통계를 분석한 결과, 상위 3개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폐렴으로 집계됐다. 이 세 원인이 전체의 41.9%를 차지했다.암, 심장질환, 폐렴의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는 각각 166.7명, 64.8명, 57.5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사망자 수 대비 비중은 각각 24.2%, 9.4%, 8.3%를 차지했다.3…

- 2024.12.05 16:10:55
대표이미지

초등학생은 운동선수, 중·고등학생은 교사 희망해

초등학생은 운동선수를, 중·고등학생은 교사를 희망 직업 1위에 선정됐다. 의사, 크리에이터, 군인 등이 꼽혔다.5일 데이터뉴스가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이 꼽은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로 12.9%를 차지했다.이번 조사는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초·중·고 1200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 등 3만848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

- 2024.12.05 15:54:04
대표이미지

디저트 업계 비상…이상기후에 코코아 가격 사상최대

지난 50년 동안 톤당 5000달러를 넘긴 적 없던 코코아 선물 가격이 올해 9000달러를 훌쩍 넘겼다.5일 데이터뉴스가 트레이딩 이코노믹스의 코코아 선물 가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12월 2일 가격이 전년 동기(4381달러) 대비 109.1% 증가한 9161달러로 집계됐다.코코아 선물 가격은 지난 2019년 말부터 지난해 4월까지 톤당 평균 2800~3000달러 사이를 유지하다, 지난해 말…

- 2024.12.05 15:22:34
대표이미지

한국인 기대수명 83.5세…남자 80.6세, 여자 86.4세

지난해 한국인 기대수명이 전년보다 증가했다.기대수명이란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계산된 수치다.4일 통계청에서 공개한 '2023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인 기대수명은 83.5세로 전년(79.9세)보다 0.8년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원인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성별로 보면, 남성 기대 수명은 80.6세, 여성 기대 수명은 86.4…

- 2024.12.05 15:00:17
대표이미지

K-라면 수출, 최초로 10억 달러 넘겼다

라면의 수출액이 10억 달러를 넘겼다. 역대 최고 기록이다. 이를 기반으로 농식품부 수출액도 1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5일 데이터뉴스가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11월 말 기준 농식품(K-Food) 수출 누적액(잠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11월 농식품 수출액은 90억484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83억6890만 달러) 대비 8.1% 증가했다.농식품 수출 누…

- 2024.12.05 13:58:37
대표이미지

지난해 의료급여 10조9000억, 전년 대비 8.3%↑

지난해 지급된 의료급여비가 10조9000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함께 발간한 '2023년 의료급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 급여비는 총 10조8809억 원이다. 이는 전년(10조479억 원) 대비 8.3% 증가했다.의료급여는 정부가 중위소득 40% 이하 저소득층에게 의료비를 보조해주는 제도다.총 급여비는 증가했지만 지난해 의료급여 수…

- 2024.12.04 16:16:57
대표이미지

평균 가구원, 10년 후 2명 밑으로 떨어진다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가 약 10년 후인 2037년 1.95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4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2~2052년 장래가구추계를 분석한 결과, 가구당 평균 가구원수는 2022년 2.26명에서 15년 후인 2037년 1.95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평균 가구원 수는 2000년 3.12명에서 2010년 2.70명, 2020년 2.37명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통계청은 평균 가구원수…

- 2024.12.04 15:42:40
대표이미지

영화, 극장 대신 OTT로 본다

극장을 찾는 사람들이 줄고 있다.4일 데이터뉴스가 영화진흥위원회의 '2023년 영화소비자 행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영화관람률은 66.5%로 코로나 시기였던 2020년(72.0%) 대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반면 극장 외 관람은 코로나 이후 80%대로 소폭 감소했지만, 2022년 97.2%로 급증한 뒤 지난해 97.4%까지 치솟았다.극장 외 관람에서는 OTT(35.3%)의 비중이 가장…

- 2024.12.04 13:53:42
대표이미지

워킹맘 증가세…기혼여성 경력 단절은 줄고, 고용률은 늘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일을 하는 워킹맘이 늘고 있다.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늘고 경력 단절은 줄어들었다.3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15세~54세 기혼여성의 경력 단절 인원은 ▲2020년 150만6000명 ▲2021년 144만8000명 ▲2022년 139만7000명 ▲2023년 134만9000명 ▲2024년 121만5000명으로…

- 2024.12.03 17:2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