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불공정 분쟁 지난해 4000건 넘어…역대 최다

지난해 불공정거래로 인한 피해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21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이 발표한 분쟁조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접수된 분쟁조정 건수는 4041건으로 전년(3481건) 대비 16.1% 상승했다. 4000건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분야별로 일반 공정거래 분야에서 접수된 분쟁이 179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하도급 거래(1105건), 가맹사업거래…

- 2025.05.21 11:06:26
대표이미지

보육기관 만족도 ‘역대 최고’… 학부모 10명 중 9명 ‘만족

보육·교육기관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가 크게 증가했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만족도는 보육실태조사 실시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21일 데이터뉴스가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4 보육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보육·교육기관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평균 91.9%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77.7%)에 비해 14.2%p 증가한 수치다.특히 어린이집…

- 2025.05.21 10:22:27
대표이미지

성평등 인식, 남녀 격차 최대 47%p…남성이 더 높아

한국인의 성평등 성취에 대한 평가는 성별에 따라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갤럽과 WIN(Worldwide Independent Network of Market Research)이 39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평등 관련 인식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영역별 성평등 성취 인식은 가정에서 73%, 직장에서 65%, 정치에서 49%로 집계됐다.39개국 평균을 보…

- 2025.05.20 14:32:06
대표이미지

국민이 가장 원하는 민생 최우선 과제는 '물가안정'

국민들이 가장 바라고 있는 민생회복 과제는 물가 안정이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그 뒤를 이었다.20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경제인협회의 국민이 바라는 민생안전 대책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민들이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최우선 대책으로 물가 안정을 꼽았다.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

- 2025.05.20 12:04:43
대표이미지

세무·법무 분야, 생성형 AI 채택률 2배↑…전문직도 AI 수용 본격화

생성형 인공지능(AI) 채택이 전문직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세무, 법무 등 규정 해석과 문서 작성이 핵심인 분야에서 도입 속도가 가파르다.20일 데이터뉴스가 국제학술정보회사인 톰슨로이터의 ‘2025 전문직 분야의 생성형 AI 활용 현황과 미래 전망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생성 AI 채택률은 22%로 전년(12%) 대비 10%p 증가했다.이번 조사는 전 세계 법률,…

- 2025.05.20 10:01:15
대표이미지

헬스장 신종 피해, 구독서비스 피해 급증

헬스장 구독서비스 관련 신종 피해가 늘고 있다.19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소비자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헬스장 구독서비스 피해구제 신청은 2022년 6건, 2023년 14건, 2024년 50건으로 증가추세다. 올 1분기에도 지난해 절반이 넘는 30건의 피해가 발생했다.헬스장 구독서비스는 모바일앱에 등록된 신용카드로 매월 정해진 날짜에 월 이용료가 자동 결제되는 방식이다.피해 유형은…

- 2025.05.19 17:45:42
대표이미지

3대 국제유가, 모두 배럴당 60달러 대까지 하락

국제 정세 난기류 속 국제유가가 연이어 하락하고 있다.19일 데이터뉴스가 기획재정부의 '2025년 5월 최근 경제동향'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 중 처음으로지난 4월3대 국제유가 모두 평균가격이 배럴당 60달러대로 떨어졌다.두바이유의 경우, 연간 평균가격은 2023년 배럴당 82.1달러에서 2024년 79.6달러, 2025년 76.9달러로 내려갔다. WTI(서부 텍사스 중질유), 브렌트유 평균…

- 2025.05.19 11:12:20
대표이미지

황금연휴 소비 해외만 대폭 늘었다

5월 황금연휴 기간동안 해외 오프라인 매출이 대폭 늘었다.19일 데이터뉴스가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이용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인 신용·체크카드 이용 중 이달 1~6일 해외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했다.5월 초 황금연휴 기간동안 해외여행 수요가 두드러지면서 이용액 역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 5월 황금연휴(4월3…

- 2025.05.19 11:11:45
대표이미지

국민 결제수단 1위는 신용카드… 현금 대신 ‘카드의 시대’

우리나라 국민들이 결제할 때 신용카드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16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은행의 '2024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지급수단별 이용 건수 비중은 신용카드가 46.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체크카드(16.4%), 현금(15.9%), 모바일카드(12.9%) 순으로 조사됐다.특히 신용카드는 절반 가까운 점유율을 유지하며 주요 결제수단으…

- 2025.05.16 14:20:55
대표이미지

성인남녀 10명 중 6명이 알바생…상당수는 본업과 병행

부족한 본업 수입을 메꾸기 위해 알바를 병행하는 사람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16일 데이터뉴스가 일자리 앱 벼룩시장이 조사한 ‘아르바이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성인남녀 1292명 중 60.5%는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으며, 월평균 아르바이트 소득은 83만8000원으로 집계됐다.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성인 중 63.7%는 본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있었다. 나머지 36.3…

- 2025.05.16 11:05:23
대표이미지

직장인, 4년 연속 출근은 빨라지고 퇴근도 앞당겨져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4년째 더 빨리 출근하고 더 빨리 퇴근하는 경향성을 이어갔다.16일 시프티가 발표한 '2025 직장인 출퇴근 및 근무시간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르면, 2024년 직장인 평균 출근시간은 8시 44분으로 전년 대비 6분 더 빨라졌고, 평균 퇴근 시간은 18시 19분으로 전년 대비 2분 더 빨라졌다.조사를 처음 시작한 2021년과 비교하면 출근 시간은 17분, 퇴근시간은 10분…

- 2025.05.16 11:04:31
대표이미지

성인 여성 절반, 결혼보다 내 성취가 더 중요하다

성인 여성 10명 중 5명은 결혼보다 자신의 성취를 더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1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24년 여성가족패널조사'에 따르면, 2022년 성인 여성 905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9차 조사에서 54.3%가 '결혼보다 나 자신의 성취가 더 중요하다'에 동의했다. 6년 전 44.5%보다 9.8%p 증가했다.결혼을 필수로 생각하지 않는 여성은 42%에서 10%p 늘어…

- 2025.05.15 18:06:45
대표이미지

대학생 희망 초봉 4140만 원…“연봉 수준, 입사 결정에 큰 영향”

2025년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원하는 첫 월급이 평균 414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자들은 여전히 연봉 수준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지만, 실제 입사 여부는 다른 조건도 함께 따지는 것으로 조사됐다.인크루트의 대학생 대상 희망 초봉 조사를 분석한 결과, 평균 414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136만 원보다 4만 원 오른 수치로, 인상폭은 2023년 3944만 원…

- 2025.05.15 16:21:23
대표이미지

늘어나는 공공도서관, 방문자 수도 꾸준히 '업'

전국의 공공도서관 수가 확대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국에 약 1300관의 공공도서관이 설치됐다. 늘어나는 도서관 수에 힘입어 방문객 수도 매년 성장세다.15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5년 전국 공공도서관 통계조사(2024년 실적 기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전국 공공도서관 수는 1296개관으로 전년(1271개관) 대비 2.0% 증가했다.공공도서관이…

- 2025.05.15 11:37:33
대표이미지

유튜브 뮤직·스포티파이가 국내 스트리밍 앱 제친 이유는?

유튜브 뮤직과 스포티파이가 국내에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15일 데이터뉴스가 와이즈앱·리테일의 '음악 스트리밍 앱 월간 사용자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기준 지난 4월 기준 유튜브 뮤직 월간 사용자는 979만 명을 기록하며 음악 스트리밍 앱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다음으로는 멜론(601만 명), 스포티파이(329만 명), 지니뮤직(260만 명), 플로(176만 명) 순으로 사용자…

- 2025.05.15 11:3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