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삼성중공업, 애물단지 드릴십에 쌓이는 적자 부담

삼성중공업의 영업손실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다. 드릴십 재고자산에 발목을 잡혀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1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중공업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5068억 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삼성중공업은 2015년부터 적자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누적 손실은 3조9656억…

- 2021.05.14 08:57:19
대표이미지

CJ제일제당, 슈완스 인수 전보다 부채비율 더 낮췄다

주요 식품업체 가운데 CJ제일제당의 부채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1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5개 주요 식품업체의 재무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0년 말 현재 부채비율이 2019년 말(137.9%)보다 17.6%p 낮아진 120.3%로 집계됐다. 5개 기업의 부채 합계는 6.2% 줄고 자본 합계는 7.5% 늘었다.코로나19로 식품업계가 호황기를 맞은 덕분이다. 조…

- 2021.05.14 08:55:36
대표이미지

롯데제과, 해외사업 개선 뚜렷…인도·파키스탄 흑자전환

롯데제과의 해외법인 실적이 늘었다.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18.0% 증가했다.13일 데이터뉴스가 롯데제과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외법인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 75억 원에서 올해 1분기 88억 원으로 18.0% 늘었다.9개 지역 가운데 인도 빙과(하브모어아이스크림), 파키스탄, 인도 건과(롯데인디아) 등 3곳이 흑자전환했다. 올해 1분기 각각 30억 원, 4억 원, 8억…

- 2021.05.13 08:52:16
대표이미지

한국지엠, 반도체 대란 속 수출도 나홀로 감소

국내 완성차 메이커 중 한국지엠만 수출이 줄었다. 반도체 대란 여파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임금협상 난항 우려도 변수다.13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5개 완성차기업의 자동차 판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은 지난달 총 49만5090대를 수출했다. 전년 동월(21만1463대) 대비 134.1%(28만3627대) 증가한 수치다.4월 자동차 수출이 1년 전보다 100% 이상 증…

- 2021.05.13 08:51:53
대표이미지

LG화학 석유화학부문, 터널 지났다...가파른 실적 상승

LG화학의 석유화학부문이 그간의 부진을 확실히 털어냈다. 올해 1분기 매출이 4조 원을 돌파하고, 영업이익은 1조 원에 육박했다.13일 데이터뉴스가 LG화학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석유화학부문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조4350억 원, 9840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3조7180억 원, 2350억 원)에 비해 각각 19.3%, 318.7% 증가했다.LG화학의 석…

- 2021.05.13 08:50:13
대표이미지

최정우 체제 2기 포스코, 두자리수 영업이익률로 산뜻한 출발

최정우호 2기 포스코가 두 자리수 영업이익률을 회복하며 산뜻하게 출발했다.12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포스코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매출 7조8004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6조9699억 원)보다 11.9% 증가한 수치다.전방산업이 회복하면서 철강 판매가 늘고 제품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철강 제품 판매량은 지난해…

- 2021.05.12 08:44:14
대표이미지

우종수-권세창 체제 한미약품, 1분기 수익성 좋았다

한미약품의 1분기 영업이익이 상승했다. 종속회사인 북경한미유한공사의 실적개선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12일 데이터뉴스가 한미약품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2703억 원으로, 전년 동기(2882억 원)보다 6.2% 줄었다.코로나19 여파로 일부 호흡기 제품 판매가 줄고 수출 실적도 감소하면서 매출이 하락했다. 1분기 내수(1844억 원)와 수출…

- 2021.05.12 08:42:55
대표이미지

녹십자, 1분기 실적 삐그덕...2020년 최대실적 무색

녹십자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했다. 지난해 코로나19에도 잘 버틴 것을 감안하면 아쉬운 성적이다.1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녹십자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올해1분기 매출이 2822억 원으로, 전년 동기(3078억 원)보다 8.3% 감소했다.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61억 원에서 올해 1분기 50억 원으로, 18.0%줄었다.녹십자는 지난해…

- 2021.05.11 08:55:22
대표이미지

리콜에 기 못펴는 한상윤 BMW 대표, 수익성 회복은 언제쯤?

한상윤 BMW코리아 대표가 취임 2년차에 수익성 하락을 막지 못했다. 2018년 하반기 잇따른 자동차 화재 이후 크게 늘어난 리콜이 발목을 잡았다.1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BMW코리아의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은 지난해 3조964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2조8610억 원)보다 38.6% 증가한 수치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BM…

- 2021.05.11 08:55:00
대표이미지

LPG만으론 한계…E1, 친환경에너지 정조준

E1이 지난해 액화석유가스(LPG) 수요 감소로 실적 부진을 겪었다. E1의 유일한 사업인 LPG사업이 한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E1은 신재생·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1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E1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매출 3조5635억 원과 영업이익 701억 원을 기록했…

- 2021.05.11 08:53:49
대표이미지

SK건설, 인프라사업 '털석'...친환경사업서 답 찾나

SK건설의 인프라사업 하락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2020년 인프라사업 매출 규모가 8000억 원대까지 떨어지면서 SK건설 주요 사업부문 중 유일하게 1조 원 아래 머물렀다.전사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0%대 초반까지 떨어졌다.10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SK건설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회사는 지난해 7조5289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 2021.05.10 09:11:27
대표이미지

락앤락-테팔, 코로나19 속 주방용품 잘 팔았다

주방용품 브랜드 투톱 락앤락과 테팔이 지난해 영업이익을 대폭 끌어올렸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주방용품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10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락앤락과 그룹세브코리아의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두 회사 모두 지난해 실적이 개선됐다.락앤락의 매출은 2019년 4860억 원에…

- 2021.05.10 09:11:05
대표이미지

GS건설 직원 연봉 9500만원…2년 연속 업계 톱

주요 건설사 중 GS건설의 등기임원과 직원 평균 연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0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주요 건설사의 등기임원과 직원 평균 보수를 분석한 결과, GS건설이 가장 많은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GS건설의 지난해 직원 평균 급여는 9500만 원으로, 조사 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9000만 원을 넘겼다. 2019년(9300만 원)보다…

- 2021.05.10 09:10:43
대표이미지

LG생활건강, 화장품 사업 아모레에 우위 유지

LG생활건강이 1분기 전체 화장품 사업을 통해 1조5000억 원에 육박하는 매출과 3000억 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렸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경쟁사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전체 실적을 1000억 원 이상 앞섰다.10일 데이터뉴스가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LG생활건강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도 전체 화장품 사업에서 아모레퍼시픽그룹…

- 2021.05.10 09:09:23
대표이미지

롯데칠성, 1분기 호실적…박윤기 대표 기분 좋은 출발

롯데칠성음료가 1분기 수익성을 대폭 강화했다. 와인과 맥주 판매 급증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올해 취임한 박윤기 신임 대표로서는 기분 좋은 출발인 셈이다.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롯데칠성음료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1분기 3대 실적 지표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매출은 2020년 1분기 5074억 원에서 2021년 1분기 5388억 원으로 6.2% 증…

- 2021.05.07 08:3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