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대기업집단 상장사, 작년 매출 20.9% 증가

대기업집단 상장사 매출이 늘었다. 자이SD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저가 항공사가 랭크됐다. 하늘길이 열린 덕분이다.반면, SK그룹의 3개 상장사가 매출 감소율 상단에 나란히 위치했다.15일 데이터뉴스가 대기업집단 상장사 304개 가운데 291개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2021년 2213조조31억 원에서 2674조4401억 원으로 20.9% 증가했다.증가율이 가장 높은 상위 5개…

- 2023.03.15 08:27:15
대표이미지

롯데온 -1560억, SSG닷컴 -1112억…적자 축소도 어렵네

롯데온과 SSG쓱닷컴이 2년 연속 1000억 원 대 영업손실을 이어가고 있다. 물류비 상승과 코로나 엔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쇼핑 수요 감소가 수익성 개선을 가로막았다.14일 데이터뉴스가 롯데온과 SSG닷컴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곳 모두 지난해 전년 수준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롯데온(이커머스 사업부)은 지난해 1130억 원의 매출과 1560억 원의 영업…

- 2023.03.14 08:31:57
대표이미지

서장원 대표 체제 코웨이, 매출 4조 시대 눈 앞

코웨이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해외법인의 매출이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코웨이는 올해 매출 4조 원과 7000억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전망치로 제시했다.6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코웨이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매출 3조8561억 원과 영업이익 6774억 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5.2%, 5.8% 증가…

- 2023.03.14 08:29:07
대표이미지

불황에도 대형사는 역시…희비 갈린 건설업계 채권 수요예측

건설업황이 부진한 가운데, 채권 수요예측에서도 대형사와 중견건설사간 희비가 갈렸다. 대형 건설사들은 수요예측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반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중견 건설사들은 고배를 마셨다.14일 데이터뉴스가 건설사들의 채권 수요 예측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형 건설사들은 최근 진행한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모집 물량을 채웠다.건설업계는 지난해부터 미분양 증가 등…

- 2023.03.14 08:27:13
대표이미지

30대그룹 건설사, 부채 부담 상승…자이에스앤디 증가율 톱

30대 그룹 상장 건설사 3곳 중 2곳은 지난해 부채비율이 높아졌다. 특히 자이에스앤디는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30대 그룹 상장 건설사 9곳의 실적 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146.4%로 집계됐다. 2021년 말(141.5%) 대비 4.9%p 상승했다.9개 기업 중 6곳의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악화됐다.…

- 2023.03.13 08:31:11
대표이미지

LS그룹, 구자은 회장 체제서 실적 달렸다

LS그룹 상장사들이 구자은 회장 체제에서 호실적을 거뒀다. 구자은 회장은 2022년 1월 그룹 회장으로 취임했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LS그룹 상장사들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7개 기업 중 6곳의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LS그룹은 지난해 1월 구자은 회장을 3대 회장으로 맞았다. 구 회장 취임 1년차인 지난해 상장사들이 매출을 끌어올리…

- 2023.03.13 08:29:23
대표이미지

불효자 된 롯데케미칼…그룹 영업이익 다 까먹었다

롯데그룹의 상장사 영업이익이 50% 넘게 빠졌다. 롯데케미칼의 적자전환 영향이 가장 컸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롯데그룹 상장사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2021년 2조9208억 원에서 지난해 1조1931억 원으로 59.2% 하락했다.롯데케미칼이 7500억 원 넘게 적자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롯데케미칼 영업이익은 1조5356억 원에서 -7…

- 2023.03.13 08:27:23
대표이미지

케이카, 2조클럽 입성…사모펀드 인수 4년 만에 매출 3배로

중고차 업계 1위 케이카가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로 주인이 바뀐 지 4년 만에 매출이 3배로 늘어났다. 적자였던 영업이익도 줄곧 흑자 기조를 걷고 있다.10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케이카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2년 매출 2조1773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1조9024억 원) 대비 14.4% 상승하며 2조 클럽에 가입했다.지난해 국내 중고차 시장…

- 2023.03.10 08:30:39
대표이미지

CJ제일제당 바이오 급성장…영업이익 식품 앞질렀다

CJ제일제당의 바이오 사업이 가파른 실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는 1조 원 이상 매출을 늘려 전사 매출 비중을 25% 이상으로 끌어올렸고, 전사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책임졌다.10일 데이터뉴스가 CJ제일제당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이오 사업 매출이 2021년 3조7312억 원에서 지난해 4조8540억 원으로 30.1%(1조1228억 원) 증가했다.바이오 사업 매출…

- 2023.03.10 08:29:44
대표이미지

제일기획, 6년 연속 순이익·배당 늘렸다

제일기획이 2017년 이후 6년째 매년 순이익과 배당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지난해는 2000억 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을 바탕으로 처음으로 1주당배당금 1000원을 돌파했다.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제일기획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6.8% 늘어난 1958억 원으로 집계됐다. 2000억 원에 육박하는 순이…

- 2023.03.09 08:43:00
대표이미지

'해외수주 확대' 외치더니…건설업계, 모두 늘렸다

건설업계가 올해 해외 수주를 크게 늘렸다. 국내 주택사업이 원가 부담으로 인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해외 사업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특히 삼성물산은 2월까지 수주액이 20억 달러를 넘어섰다.9일 데이터뉴스가 해외건설협회에 공시된 업체별 해외수주액 추이를 분석한 결과, 주요 건설사들이 올해 들어 해외수주를 모두 늘렸다.주요 건설사들은 올해 해외 수주…

- 2023.03.09 08:42:26
대표이미지

배당주 대표주자 KT&G, 10년간 3200원→5000원

KTG가 지난 10년간 배당금을 꾸준이 늘려왔다. 10년 전 3200원이던 1주당 배당금은 지난해 5000원까지 늘어났다.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KTG의 배당 결정내용과 연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1주당 배당금이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3년 3200원이던 KTG의 1주당 배당금은 2014·2015년 3400원, 2016년 3600원, 2…

- 2023.03.08 08:29:09
대표이미지

LX하우시스, LX그룹 출범 이후 매년 매출 늘렸다

LX하우시스가 LX그룹 편입 이후 매년 매출 성장세를 기록중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경기상황이 좋지 않았는데도, 매출을 전년에 비해 4.4% 늘렸다.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LX하우시스의 실적 추이를 분석한 결과, LX그룹으로의 편입(2021년 7월) 이후 매년 매출을 늘렸다. 지난해 매출은 3조6112억 원으로, 2021년(3조4598억 원) 대비 4.4% 증…

- 2023.03.08 08:27:20
대표이미지

CJ그룹, 상장사 일제히 배당 확대…대한통운 배당 재개

CJ그룹 상장사 대부분이 배당을 늘렸다. 적자전환한 CJ ENM은 배당을 하지 못했다. CJ대한통운은 1997년 이후 26년 만에 배당을 재개해 주목됐다.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CJ그룹 상장사들의 배당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배당 정책을 발표한 4개 기업은 2021년 대비 모두 배당금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CJ대한통운의 배당 정책이 가장 돋보인…

- 2023.03.07 08:27:54
대표이미지

한올바이오파마, ‘기술료→R&D투자→신약’ 선순환 만든다

한올바이오파마가 지난해 마일스톤을 통해 매출을 늘렸다. 올해는 마일스톤을 비롯한 수익을 바탕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할 전망이다.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실적을 분석한 결과, 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해 매출 1100억 원으로 전년(1016억 원) 대비 8.2% 증가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해 의약품 판매 호조와 바이…

- 2023.03.07 08:27:20


>